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인플레이션의 원인, 주요 지수 및 대처 방안

by 퓨처파인더 2023. 5. 16.

인플레이션(Inflation)은 경제 현상으로서, 일반적인 물가 상승률 이상으로 가격 상승이 계속되는 경제적 과열을 뜻합니다. 인플레이션에는 수요측과 공급측 인플레이션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수요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은 수요측 인플레이션, 반면 공급 부족에 따라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은 공급측 인플레이션입니다.

 

인플레이션(Inflation)

발생 원인

첫째, 경기 부양 정책

정부가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언제든지 해외에서 차입할 수 있기 때문에 대규모 경기 부양 정책을 쉽게 시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기 부양 정책은 금리 인하 및 예산 증액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과도한 양적 완화 정책은 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둘째, 수요 증가에 따른 가격 상승

수요가 증가하면 공급 급여를 따라가지 못할 경우 생산 부족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생산 부족현상은 가격이 올라가며 인플레이션을 일으킵니다.

 

셋째, 화폐의 가치 하락

하나의 단위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면 물가가 상승하게 되어 인플레이션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기준율을 유지하기 위해 통화량 조절 등을 통해 화폐의 가치를 조정하지만, 통화량 조정과 같은 조치는 안되는 상황에서는 인플레이션 발생을 야기해 초래하는 원인으로 등장할 수 있습니다.

 

넷째, 재정 거래 적자 증가

정부는 예산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적자가 발생할 경우 또는 인플레이션 발생을 막기 위해 세금 인상 등을 시행하는데, 이를 통해 인플레이션 발생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다섯째, 수출 증가

국가의 수출 증가로 인해 수입이 증가할 경우,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자금을 소유하게 되므로, 가격이 올라가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대표적인 지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플레이션 지수이며, 일반적으로 물가 상승률을 나타냅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일반적으로 생활에 필요한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여 인플레이션을 파악합니다.

 

다음으로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소비자물가지수와 마찬가지로 물가 상승률을 측정하지만, PPI는 생산 기업과 수입 기업의 재화 및 용역의 가격 변동을 측정합니다. PPI는 제조업 및 건설업 등 고부가가치 산업의 경기 상황을 평가하는데도 활용됩니다.

 

마지막으로 '고용비율'은 전체 노동 인구 중 고용 상태에 있는 인구의 비율을 나타내며, 인플레이션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고용비율이 상승하면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고용 상태의 악화 가능성이 높고, 하락하면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대처 방안

인플레이션을 대처하는 방안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다음과 같은 5가지 대처 방안을 적극적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첫째, 통화량 조절

인플레이션 발생 시,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경제 안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통제함으로써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기 부양을 조절하고, 경제 안정성 확보에 매우 유용합니다.

 

둘째, 정부의 재정 지출 감소

재정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지출을 줄이고 세입금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정책을 통해 경제 환경을 개선하여,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셋째, 금리 인상

중앙은행의 기준 금리를 인상함으로써, 경제 주체의 대출 수요를 감소시킴으로써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넷째, 통화 긴축

인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해 경제 주체의 인플레이션 신호를 제한하여, 통신 수요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즉, 소비자가 일부제품을 대기하고 있다가 가격이 다시 내려갈 것을 예측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물가상승률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경기 부양 정책의 중립화

인플레이션 이탈 후 음성적인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경기 부양 정책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단, 가능한 한 복수정책에서 인플레이션 대처에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결정을 가져야 합니다.

댓글